학력과 지성의 깊이가 꼭 비례하지 않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학력과 지성의 깊이가 꼭 비례하지 않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나무사랑
댓글 0건 조회 2,387회 작성일 16-08-21 03:37

본문

소위 사회 지도층에는 고학력자들이 많다. 이들은 머리가 좋고, 국내외 좋은 대학 출신이며, 그 어렵다는 고시까지 붙은 경우도 있다. 그런데 가끔 우리를 당황시킬 때가 있다. 황당한 사건에 연루가 되거나, 보통 사람들 상식으로 할 수 없는 말을 내뱉거나, 신문 1면에 등장할 뉴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 왜 이들에게서는 깊은 지성을 느낄 수 없을까? 마침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책이 있어서 소개한다. 바로 다사카 히로시의 책 ‘슈퍼제너럴리스트: 지성을 연마하다’이다.


the


저자에 따르면 지성과 지능, 지식은 다르다. (우리는 대체로 비슷한 것들이라고 생각한다.)

“’지능’이란 ‘답이 있는 물음’에 대해 재빠르게 옳은 답을 찾아내는 능력이다.”
“’지성’이란 ‘답 없는 물음’에 대해 그 물음을 계속 물어나가는 능력이다.”
“’지식’이란 ‘말로 드러나는 것’이며, ‘책’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지혜’란 ‘말로 드러나지 않는 것’이며, ‘경험’으로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지성’의 본질은 ‘지식’이 아니라 ‘지혜’다.”

“우리가 진실로 ‘지성을 닦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요구된다. 하나는 ‘답 없는 물음’을 되묻는 힘을 기르는 것이다. 또 하나는 ‘지식과 지혜의 착각’이라는 ‘병’에 걸리지 않는 것이다. 독서를 통한 ‘지식’ 습득만으로 ‘지혜’를 얻었다고 착각하지 않고, 오래도록 꾸준히 경험을 쌓아서 깊은 ‘지혜’를 깨달아가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자기 생각을 밝힐 경우, ‘그것이 책으로 배운 지식인지, 아니면 경험을 통해 얻은 지혜인지 자문해봐야 한다.”

(책 ‘슈퍼제너럴리스트’, 다사카 히로시 저)

the


사실 우리는 오랜 기간 동안 지식을 쌓는 훈련만 반복해 왔다. 아무런 경험이 없어도 지식을 측정한 후 통과되면 스스로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숱한 경험을 통해 지혜를 쌓은 사람들이 봤을 때 상당히 위험한 일이지만, 늘 그래 왔기에 아무렇지도 않게 행해 졌다.


최근 들어 개인의 지능과 지식이 뛰어나다고 해도 사회에는 별 도움이 안 되는 경우들이 많아지고 있다. 지능과 지식에 대한 관심과 투자 대신 지성과 지혜에 애정을 가져야 할 때다. 지성과 지혜가 많은 사람들이 우대 받고, 또 지성을 갖추고 지혜로운 사람들이 많은 사회는 건강하게 발전할 수밖에 없다. 이제 지성과 지능, 지혜와 지식을 구분해야 할 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0,126건 1127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3236 나무사랑 3650 08-22
3235
23회 피치컵 오픈 안내 인기글 첨부파일
kulzio 2049 08-22
3234 ale 1597 08-22
3233
골프 동호회 모집 인기글 댓글3
jinu 2553 08-22
3232 vnfbsgjsnf 2101 08-22
3231 dhwlfkv 6329 08-21
열람중 나무사랑 2388 08-21
3229 지키리 1793 08-21
3228
유혹과 시험 인기글 첨부파일
redgrace 1952 08-20
3227 193211 1537 08-20
3226 yura 1505 08-20
3225 Daniel2500 2117 08-19
3224 kmovie 2072 08-19
3223 kmovie 1654 08-19
3222 나무사랑 2366 08-19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GTKSA
회장: 김준우 president@gtksa.net
홈페이지 오류 문의: webmaster@gtksa.net
채용 문의: vicepresident@gtksa.net
광고 문의: treasury@gtksa.net
Copyright © https://gtksa.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