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생각한다, 고로 당신 탓이다.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나는 생각한다, 고로 당신 탓이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현우sb
댓글 0건 조회 313회 작성일 25-06-20 09:08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도 누군가의 탓을 하고 있는지 자신을 돌아보자는 의미로 글을 작성해보았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내 시선은 조용히 해산물 볶음밥 위에 머물러 있다.
탱탱한 새우살의 탄력을 느껴보기도 전,
앞에 앉은 이의 깊은 한숨이 식탁을 울린다.

나는 고개를 들어 그의 눈을 바라본다.


묻지는 않지만, 묻고 있다는 걸 알 수 있게 —
그렇게 조용한 무대가 마련된다.

그리고 그는, 마치 독백하듯 말하기 시작한다.

와이프에 대한 섭섭함.
자신은 희생했다고 느끼는데,
상대는 그러지 않는다는 생각.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04279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sGFyaje44El94sf6UlWF3%2BU4Ag8%3D

가끔은 일을 그만두고
뭔가를 되갚아주고 싶다는 충동도 있지만,
그럴 순 없다고 말한다.
사회적 책임이 그를 묶고 있다고.

나는 그 말을 들으며,
그의 얼굴 너머로 어딘가 어린 표정이 겹쳐진다.
마치 이렇게 외치는 것 같다.


"나는 특별하다는 걸 느끼고 싶어."


특별함을 통해 상처받은 자존을 복구하려는 아이.

그런 아이는,
자신보다 특별해 보이는 대상을 향해
화살을 쏘기도 한다.
지금 이 자리처럼.


나는 말없이 숯불 향이 배인 볶음밥을 한입 삼킨다.
해줄 수 있는 말은 없었다.
그는 이미 화가 나 있었고,
내가 할 수 있는 건 조용한 끄덕임뿐.

속으로는 생각한다.


이건 단지 그의 기준일 뿐이고,
와이프에게도 또 다른 진실이 있을 거라고.

하지만 그런 말을 꺼냈다간,
그는 ‘손해 보는 인생’이라는 말을 꺼낼지도 모른다.


언젠가부터 우리는
누가 더 아까운가를 비교하는 일에 익숙해졌다.
TV도, 커뮤니티도, 친구들도
누가 더 손해 봤는지 말하라 종용한다.

그리고 스스로 손해 본다 느끼면,
움직이지 않는다.


마치 이 인생은 손해 보지 않기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하지만 — 그 손해, 정말 다 본 건가?
눈에 보이는 것만 계산한 건 아닌가?

눈에 안 보이는 것이 훨씬 많은 세상에서,
그 모든 걸 고려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예전의 나는
그런 말을 하다 낭패를 본 적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틀릴 가능성이 담긴 말은
좋아하지 않으니까.


그래서 나는 조용히, 속으로 중얼거린다.


"이게 다 당신 때문입니다, 데카르트 씨."


몸과 마음을 분리한 철학자.
그가 이룬 이원론은
과학과 종교, 물질과 정신을 나누었고,
결국 인류에게
‘선택해야 한다’는 운명을 남겼다.

물론 그는 위대한 사람이었고,
그 덕에 우리는 고전 물리학을 얻었지만—
그 분리는 아직까지도,
우리 삶 곳곳에 균열을 남긴다.

그래도 나는 생각한다.


그의 잘못은 아니다.


정보는 전달자에 불과하며,
그 이후의 진화는
다음 세대의 몫이니까.

언젠가는 누군가가
그 단절을 다시 잇고,
통합의 언어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겠지.


그게 내가 아닐지라도,
그런 사람은 나타날 거라 믿는다.

그리고 지금, 내 앞에 앉은 이도
진심으로 잘되길 바란다.


하지만 그것이
그가 고통스러운 진실을 마주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진실이 반드시 고통스러워야 할까?


변화는 부드러울 수도 있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04279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k8p04sXGV2tCIpm24Ees3rbsiLo%3D

진실도, 마치 볶음밥처럼 —
눈앞의 한 끼를 온전히 음미할 수 있을 만큼
따뜻하고 향긋한 것이길.


지금과는 다르게,
휴대폰 없이, 비교와 평가 없이,
눈앞에 있는 것을 진심으로 느낄 수 있는 그런 여유.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잃어버린 진실인지도 모른다.


데카르트 씨,
우리는 모두 당신의 자식입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우리도 자신만의 말을 하게 되겠지요.
자신만의 진실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0,062건 19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9792
불법이민자들 인기글 댓글4
JTBC사건부장 1464 06-23
19791 kimtv 1475 06-23
19790 Purplenara 252 06-23
19789 현우sb 478 06-23
19788 Naomi8282 412 06-23
19787 순뎅이 431 06-23
19786 사기꾼잡고싶다 1343 06-23
19785 현우sb 391 06-22
19784 알콩아버지 1028 06-22
19783 현우sb 298 06-21
19782 새축복교회 357 06-20
19781 미국숲속농장 282 06-20
열람중 현우sb 314 06-20
19779 건널목 619 06-19
19778 gkcc2024 232 06-19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GTKSA
회장: 김준우 president@gtksa.net
홈페이지 오류 문의: webmaster@gtksa.net
채용 문의: vicepresident@gtksa.net
광고 문의: treasury@gtksa.net
Copyright © https://gtksa.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