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움 공 부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자유게시판

마 움 공 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저언덕
댓글 0건 조회 259회 작성일 18-11-02 11:12

본문

우리 아이들을 위한다면

“중학교 2학년 아들을 둔 엄마입니다.
제4차 산업혁명도 다가오는 요즘,  
앞으로 아이들이 어떻게 교육시켜야 할까요” 


2035년이 되면, 
새로운 직업이 250만개도 생기지만 
현재의 직업들 중 750만개는 사라진대요.  

미래로 갈수록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체하면서 
우리 일상은 많이 바뀐다는 얘기죠.  

공부 잘해서 변호사 되라, 의사 되라, 
그러는 건 이제 다 지나간 방식이에요. 

새로운 시대에 잘 적응하려면 
사람이 직접 할 수 있는 능력, 
창조력이 가장 필요합니다.   

지금의 아이들은 
자율적이고 자립적이면서 
심리가 억압되지 않도록 키우는 게 좋아요. 
 
img_xl-5.jpg
 
위대한 실패
“사업 실패로 마음이 괴롭습니다”  

실패는 좋은 일이에요. 

이미 해봤으니까
‘아, 이러면 실패하는구나’
알아가는 것만으로
좋은 학습이 됩니다.

또 ‘이렇게 하면 실패하는구나,
실패하지 않으려면 뭐가 더 필요할까?’
연구도 해볼 수 있어요. 

우리는 실패를 통해 성장할 수 있고 
새로운 기회도 창조할 수 있어요. 
 
실패를 두려워마세요. 
 
img_xl-6.jpg
 
 
행복을 찾아 캐나다로 갔더니 
 
20여 년 전, 
북한 혜산에서 넘어온 탈북민을 
중국 장백 국경변에서 도와드린 적이 있어요.  
 
그 후 만나지 못하다가  
대전에서 만났는데 
보자마자 저를 껴안고 우는 거예요. 
남한에서 살면 행복할 줄 알았는데 너무 힘들다고.  
 
그러다 한동안 못 봤는데 
캐나다 토론토에서 강의하는 데서 또 만났어요.  
 
어떻게 된 거냐고 하니까 
아이 공부시키려고 왔대요. 
캐나다 오면 북한에서 왔다고 차별은 안 하더래요. 
의지의 한국인이죠. 
그런데 살아보니 또 힘들다고 해요.  
 
한국에 처음 왔을 때는 천국 같았을 겁니다.  
하지만 살아보니까 그 지옥이나 이 지옥이나 비슷하죠?  
 
우리는 늘 이렇게 환경을 탓하며 
천국을 찾아다닙니다. 
마음의 행복은 환경이 바뀐다고 해결되지 않습니다.  
지금 나를 바로 보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탈북민들의 생생한 고뇌를 즉문즉설로 담아낸 
<스님, 왜 통일을 해야 하나요> 중에서 즐거움은 곧 괴로움
즐거운 만큼 괴로움이 따라옵니다. 
즐거움 속에 괴로움이 함께 있어요.
삶 자체가 괴로움입니다.  

배고플 때는 종류에 관계없이 
배만 불렀으면 합니다. 
그런데 충분히 먹을 게 주어지면 
맛있는 것을 찾게 됩니다.  

맛있는 것만 찾을까요? 
영양이 풍부한지, 예쁜 그릇에 담았는지 
점점 욕구가 늘어납니다. 

욕구를 따라가서는 
완전한 행복에 이를 수 없어요.   

욕구를 따르는 것은 욕구를 수용하는 것이고, 
욕구를 참는 것은 욕구를 반대하는 것 같지만, 
둘 다 욕구의 노예입니다.  

욕구의 노예가 되지 않는 방법은 
욕구에 반응하지 않는 것입니다. 
다만 욕구를 알아차릴 뿐입니다.  

이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저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똑바로 가는 겁니다.
이것이 붓다가 발견한 ‘중도’의 길입니다 
 
img_xl-7.jpg

자기 그릇 만큼


하늘에서 비가 내리면 제 그릇만큼 
물을 얻어간다는 말이 있어요. 

큰 그릇은 많이, 작은 그릇은 적게 얻고
그릇이 없어서 못 받아가는 사람도 있어요. 

간혹 큰 그릇을 들고 서 있는데도 
물 한 방울 못 받아가는 사람이 있는데
어떤 사람이 그럴까요?
그릇을 거꾸로 들고 있는 사람이에요. 

가진 것이 고맙고 좋은 줄 모르고   
싫다 힘들다 불평불만이 많은 사람은 
하늘에서 장대비가 내려도 물이 안 담겨요. 

방긋 웃으며 제 그릇에 감사하는 그 마음에 
복이 저절로 가득 담기는 거예요.   
 
img_xl-8.jpg 
 
억지부리는 사람
“잡아떼고 억지 부리는 사람을 보면 
화가 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내 마음속에서 화가 난다면 
그의 문제일까요, 내 문제일까요? 

이 세상에는 다양한 생각을 가진 
여러 사람이 살고 있어요.
생각과 입장이 입장이 다른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다른 생각 다른 입장을 대할 때 
화가 난다는 건 내 생각이 옳고 
남의 생각이 틀렸다고 믿기 때문이에요.  

어떤 경우에도 화가 나는 건 내 문제이고
사회 문제든 개인 문제든 
화나는 감정만으로 해결되는 건 없어요.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내 생각이 옳다는 생각을
내려놓는 게 우선입니다. 


img_xl-9.jpg



http://gtksa.net/zbxe/gtksa/xe/index.php?mid=clubs_religions&document_srl=350423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607건 857 페이지
자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5767
JCKC PRESCHOOL 등록하세요~ 인기글 첨부파일
JCKCPRESCHOOL 296 06-20
5766 keyjohn 296 08-08
5765 김상철 296 09-08
5764 퀵퀵닷컴 296 10-07
5763 EpiphanySuwanee 296 10-21
5762 jineun 296 04-08
5761 intermission 296 12-22
5760 DreamFC 296 07-02
5759 onewayj 296 08-03
5758
2021년 천. 종 . 산 .삼 인기글 첨부파일
트로트 296 08-23
5757 MD2 296 09-01
5756 핑크토파즈 296 10-26
5755 Alpuse 296 11-10
5754
Christmas Mini Session 2022 인기글 첨부파일 링크첨부
gyminii 296 11-22
5753
리딩 인기글 링크첨부
포토사랑 296 04-20

검색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GTKSA
회장: 김준우 president@gtksa.net
홈페이지 오류 문의: webmaster@gtksa.net
채용 문의: vicepresident@gtksa.net
광고 문의: treasury@gtksa.net
Copyright © https://gtksa.net All rights reserved.